1. Git 사용을 위해 이용되는 프로그램
Git Bash(CLI : 터미널에 명령어 직접 입력)Source Tree(GUI : Graphical User Interface)VS Code
2. Git 명령어 정리
프로젝트 생성시 첫번째로 VS Code로 폴더를 열어야 한다
그리고 터미널에 명령어 git init을 입력한다
그러면 이제 git이 이 폴더를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
그러면 숨김폴더 .git 가 생성된다
git status 명령어를 통해 변경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
Git 의 관리를 배제하고 싶은 파일의 경우 .gitignore 파일을 생성하여 해당하는 파일명을 작성한다
# .gitignore
secrets.yaml
untracked file git이 관리하지 않는 파일
git add 파일명 해당 파일의 변경사항을 버전에 담는다
git add . 모든 파일의 변경사항을 버전에 담는다
git commit
- 새로운 버전을 만든다
- 이 때 Vi 입력 모드로 진입하므로 Vi 명령어를 숙지해야 한다
i를 입력하면 입력할 수 있게 된다- 그리고 commit message를 입력한다 ex)
FIRST COMMIT esc를 입력하면 입력을 종료하게 된다:q아무 입력도 하지 않고 저장하지 않을 시 입력 후 Enter:q!입력했는데 저장하지 않을 시 입력 후 Enter:wq입력 후 저장할 시 입력 후 Enter
git commit -m "FIRST COMMIT" 위 방법보다 이 방법으로 쉽게 commit 가능하다
git log commit 내역을 확인한다 각 commit의 해시 또한 확인 가능하다 (:q 로 종료 / j 아래로 스크롤 / k 위로 스크롤)
git diff 변경사항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
🤍 버전 만드는 방법 간단히 정리
1. 파일 변경사항 입력 후 저장한다
2. git add . 으로 모든 변경사항을 버전에 담는다
3. git commit -m "commit message" 으로 commit 한다
git commit -am "commit message"
add 와 commit 을 함께 할 시 사용하는 명령어로, 새로 추가된 파일이 없을 때만 사용 가능하다
4. 과거로 돌아가는 방법 ( VS Code )
Git에서 프로젝트를 과거로 되돌리는 방법
1. reset : 시간을 과거로 되돌리는 거 / 과거로 되돌아가게 한 후 그 이후의 내역들은 지운다
2. revert: 했던 내역과 반대되게 실행하여 그 내역이 실행되지 않았던 것처럼 되돌림 / 특정 내역만 취소 가능
(+)
.git 폴더 백업 시 복사 붙여 넣기하여 다른 폴더에 보관하고 실수가 생겼을 때 원래의 .git 폴더를 지우고 백업해놓은 .git 폴더를 그 자리에 붙여 넣으면 다시 되돌아갈 수 있다
(1) reset으로 과거 돌아가기
git log로 돌아가려는 시점의 commit 해시를 확인하고 복사한 후
git reset --hard 해시 입력하면 된다
해시를 제외하고 명령어를 입력시 마지막 commit을 가리킨다
백업해둔 .git 폴더 사용할 시 git reset --hard 를 입력하면 된다
(2) revert로 과거 돌아가기
git revert 해시 입력 후 :wq로 저장한다
git revert --no-commit 해시 commit 하지 않고 revert 한다
5. Source Tree
(1) Commit
파일을 수정하고 저장하면 Source Tree 프로그램에 들어갔을 때 위와 같이 뜬다
커밋을 눌러주고 파일들을 스테이지에 올린 후 commit message를 입력해주면 commit 할 수 있다
(2) Revert
되돌아가고자 하는 commit 내역 선택 > 우클릭 > 커밋 되돌리기를 하면 된다
(2) Reset
commit 내역 선택 > 우클릭 > 이 커밋가지 현재 브랜치를 초기화를 하고 Hard를 선택하면 된다